사업개요
지역 콘텐츠 연구개발 및 평가시스템 마련 등 문화도시사업 추진 효율성 증대
사업배경
문화도시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등 연구개발
- 각각의 문화도시 사업과 관련해 지역 정책과의 연계성, 경쟁력, 파급효과 등에 대한 연구개발(R&D)을 통해 사업추진 근거 마련
- 새로운 정책으로의 문화도시에 대한 기대 표출
- 문화로 지역을 바라보는 지역 생성과 사회적 공유 요구
사업목적
견고한 문화도시 사업 점검 및 효율적 실행을 위한 연구사업 진행
- 목포 문화도시 정보 제공 및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한 문화기록물 발굴 및 축적
사업내용
문화지도
- 목포 전역 23개 동의 문화적 요소들 파악
- 지역 문화공간, 지역 예술가, 지역 행사, 지역 축제, 지역 음식 등 각 동에서 일어나는 문화적 정보 제공
- 아카이빙을 통해 목포 지역 간 문화적 정보와 홍보 연계 가능성 모색
- 뉴스레터, 문화우체통의 소식지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시민들에게 전달하고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공동체 역할 수행
예향문화기록단
- 시민문화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청년기획자, 문화 갯물학교 양성과정 수료자, 문화통장들을 통해 지역 문화자원 발굴
- 우리 동네 이야기 특성을 살린 문화스토리를 바탕으로 목포 정체성 강화
- 오프라인 아카이빙 구축을 통한 목포 지역 문화 이해도, 관심도 제고
공모전
- 목포의 역사, 시민들의 삶의 모습 등 시민 스스로 간직해온 목포에 대한 다양한 기록들을 수집
- 목포 개항 시기인 1897과 관련된 시민들의 사진, 동영상, 생활용품, 기록물 등을 전시
문화 소식지(문화로 ON)
- 불특정 다수에게 문화도시 관련내용 안내 및 홍보
- 23개의 동 거치대에 문화 소식지 배포
기대효과
- 지역의 다양한 자원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수집 발굴 조사하여 지역정체성 강화
- 23개의 우리 동네 이야기를 만들어 지역문화 스토리 형성과 지역 문화 확산